- “태양광 산재사고 진상조사와 안전 확보, 태양광 집착은 시대착오적 속도조절 필요”
![]() |
| ▲ |
박상웅 의원실에서 입수한 고용부 자료에 의하면, 지난 10년간 태양광 관련 산업재해로 43명이 사망했고, 추락이나 깔려서 다친 부상자도 996명에 달했다.
급속한 태양광 확대가 불러온 국민 생명과 안전 위협의 구체적인 수치가 드러난 것이다.
또한 한수원은 최근 5년간 태양광 발전의 공급과잉으로 가동을 강제로 멈춰, 4인 가구 33만1천 세대가 1년간 쓸 수 있고 전기차 2,326만대를 한 번에 완충할 수 있는 1,791기가와트시(GWh)의 전력이 버려졌다.
1,791기가와트시(GWh)의 전력량은 발전용량 1기가와트(GW)짜리 원전 1기를 24시간 가동해서 75일 동안 생산해야 얻을 수 있는 전력량이며 금액으로는 1,071억이다.
박상웅 의원은 “만약 원자력발전소에서 단 1명의 인명피해가 났다면 지금 대한민국이 들썩였을 것인데, 정부는 언급조차 하지 않고 있다”라면서, “정부는 분명하게 진상조사하고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방안을 즉각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한 박 의원은 “RE100 캠페인을 주도한 국제단체 ‘클라이밋 그룹’조차 원전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방향을 수정했다”라며 “세계가 ‘현실적 탄소중립 CF100’을 향해 속도조절에 나서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만 여전히 태양광에 집착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라고 질타했다.
이어 박 의원은 “기존 원전 시설의 고리2호기 등 수명연장을 적극 추진하며 국민 77%가 찬성하는 원전산업을 활성화하고, 기후에너지환경부의 탈원전 자세에 적극 대응해 원전 산업을 유지‧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김정관 장관에게 강력히 요청하였고, 김정관 장관도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했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